본문 바로가기
배움: MBA, English, 운동

🇯🇵 일본 완성차 3사, 중국 테크기업과 손잡다!

by Heedong-Kim 2025. 4. 30.

– 토요타, 닛산, 혼다의 새로운 도전 –

 

중국 전기차(EV) 시장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완성차 3사, 토요타(Toyota), 닛산(Nissan), 혼다(Honda)가 중국의 대표 기술기업들과 전략적 협력에 나섰습니다. 과거의 성공 경험에 기대기보다는, '중국 현지 두뇌와 손'을 적극 끌어들여 스마트 EV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때 "품질"과 "신뢰성"을 무기로 중국 자동차 시장을 지배했던 일본 브랜드들, 토요타, 닛산, 혼다는 이제 전혀 다른 현실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 모델로 쌓아올린 영광은 빠르게 옛 이야기가 되어가고, 중국 소비자들은 이제 **전기차(EV)**는 물론, 스마트 콕핏, AI 음성제어, 자율주행 보조 기능을 당연히 기대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여기에 더해, BYD, NIO, Xpeng 같은 중국 로컬 브랜드들은 빠른 제품 개발, 강력한 가격 경쟁력, 디지털 혁신을 무기로 급격히 시장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일본 3사는 더 이상 "혼자" 싸울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중국 현지 두뇌와 손"**을 빌려야 한다는 절박함, 그리고 새로운 시장 질서에 적응하려는 전략이 지금의 협력 모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Auto Shanghai를 무대로 펼쳐진 일본차의 새로운 도전, 그 최전선에는 화웨이, 모멘타, 딥시크 같은 중국 테크 기업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과연, 일본차는 이 거대한 변곡점을 기회로 바꿀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그 치열한 현장을 살펴보겠습니다. 🚗✨

 

 


🚗 토요타, 화웨이와 함께하는 첫 스마트 세단 출시

토요타는 중국 시장을 겨냥해 첫 번째 전용 전기 세단 bZ7을 선보였습니다. 이 모델에는 **화웨이(Huawei)**의 운영체제인 HarmonyOS가 처음으로 탑재되었는데요. 이를 통해 터치스크린 하나로 창문, 에어컨, 시트 위치 등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콕핏'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또한 토요타는 중국 스타트업 **모멘타(Momenta)**와 협력하여 **레벨 2 자율주행 보조시스템(ADAS)**을 개발 중입니다. 이 시스템은 여전히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만, BYD 등 중국 로컬 기업들이 10만 위안(약 1,370만원) 이하 차량에도 적용하고 있어, 빠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토요타는 중국 시장을 겨냥해 전략적으로 개발한 첫 번째 전기 세단 bZ7을 Auto Shanghai에서 공개했습니다. 이 차량은 단순한 전동화를 넘어 '스마트 콕핏'이라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안합니다.


bZ7에는 중국 대표 기술기업 **화웨이(Huawei)**의 운영체제인 HarmonyOS가 탑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창문 개폐, 에어컨 조정, 시트 포지션 설정 등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한 차량 내부 환경을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HarmonyOS는 스마트폰, 태블릿, 가전제품 등 다양한 기기들과의 연동이 가능해, 차량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허브'**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토요타는 이번 협업을 통해 중국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디지털 친화성사용자 경험(UX) 강화 트렌드에 본격 대응하려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토요타는 자율주행 보조 기능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Momenta)**와 협력하여, 레벨 2 수준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 차선 유지, 긴급 제동 지원 등의 기능을 포함하며, 운전자의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중국에서는 BYD 같은 로컬 브랜드가 이미 10만 위안(약 1,370만 원) 이하의 저가형 모델에도 레벨 2 ADAS를 적용하고 있어, 일본 업체들도 빠른 현지화가 필수인 상황입니다.

 

 


🏎️ 닛산과 혼다도 '중국형 EV' 전략 가속화

닛산은 모멘타와 협력하여 새로운 EV 모델 N7에 ADAS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혼다Ye EV 시리즈에 같은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혼다는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와 손잡고, 차량 음성명령 기능을 대폭 강화할 예정입니다. 여기에 배터리 부문에서는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과 협력하여 전력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토요타뿐만 아니라, **닛산(Nissan)**과 혼다(Honda) 역시 중국 시장에 특화된 EV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닛산은 새로운 전기차 모델 N7에 모멘타의 ADAS 기술을 탑재하여, 스마트 운전 보조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N7은 중국 젊은 세대를 겨냥해, 디지털 친화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첨단 운전 보조 기능을 결합한 모델로 기획되었습니다.

 

한편, 혼다는 Ye EV 시리즈로 중국 전기차 시장에 다시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혼다는 차량의 음성 제어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와 협력 중입니다. DeepSeek의 AI는 단순 음성 인식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자연어 이해와 빠른 반응을 목표로 개발되어, 운전자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듯 차량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조금 시원하게 해줘" 같은 명령어도 정확히 인식해 에어컨 세팅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부분에서도 전략적 협력이 이어집니다. 혼다는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td.)**과 손을 잡고, 긴 주행 거리빠른 충전 속도를 모두 잡은 배터리 솔루션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요소 중 하나인 배터리 성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포석입니다.

결국, 닛산과 혼다 모두 단순히 차량을 수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중국 현지 소비자 취향과 기술 트렌드를 반영한 맞춤형 EV를 빠르게 선보이며, 전기차 시장 재도약을 노리고 있습니다.

 

 

 


📉 2020년 영광에서 2024년 위기까지

한때 토요타, 닛산, 혼다는 2020년 중국에서 총 488만 대 판매라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EV 전환 물결에 뒤처지면서 2024년에는 판매량이 약 30% 감소하는 고전을 겪었습니다. 토요타의 한 임원은 "중국에는 이제 새로운 '카 컬처'가 자리 잡았다"며, "현지 인재와 협력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2020년, 일본 자동차 3사(토요타, 닛산, 혼다)는 중국 시장에서 총 488만 대를 판매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일본차가 가진 뛰어난 품질, 신뢰성, 그리고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 덕분이었습니다. 한때 "중국 내 외자 브랜드의 왕좌"를 지키던 이들은, SUV 붐과 내연기관차 수요 증가를 타고 탄탄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그러나 EV 혁명이 본격화된 이후 상황은 급변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 중국 정부는 탄소 중립 목표에 따라 전기차(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보급을 적극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BYD, NIO, XPeng 같은 중국 로컬 브랜드들이 공격적인 가격 전략과 빠른 제품 혁신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렸습니다.

 

반면, 일본 브랜드들은 내연기관차(ICE) 및 하이브리드(HEV)에 집중했던 기존 전략을 고수하다가 빠른 EV 전환에 뒤처졌습니다.
그 결과, 2024년 현재 일본 3사의 중국 내 판매량은 약 30% 감소하는 뼈아픈 결과를 맞이했습니다.


특히 혼다는 한 해 동안 중국 판매량이 전년 대비 20% 이상 급감하며 가장 큰 충격을 받았고, 닛산 역시 주력 모델 판매 부진으로 브랜드 가치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토요타의 한 임원은 "중국에는 이제 내연기관차가 중심이었던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카 컬처'**가 자리잡았다"며, **"현지 파트너십 없이는 생존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 EV 이후 경쟁의 핵심은 '스마트 기술'

중국에서는 단순 EV 경쟁을 넘어, 자율주행과 스마트 콕핏 같은 인-카 테크놀로지가 새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BYD를 비롯한 로컬 기업들은 빠르게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본 업체들의 현지 전용 모델 역시 금세 뒤처질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특히 미중 기술 패권 경쟁 탓에, 중국 현지 모델을 그대로 글로벌 시장에 수출하는 것은 어려울 전망입니다.

 

이제 중국 EV 시장의 경쟁 구도는 단순한 '전동화'를 넘어, **'스마트화'**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202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배터리 성능, 주행 거리, 충전 인프라가 주요 경쟁 요소였지만, 2024년 현재 시장의 초점은 차량 내부의 디지털 경험, 자율주행 능력, AI 기반 스마트 콕핏 기능으로 옮겨갔습니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은 단순한 '차'가 아니라, '움직이는 스마트폰', '모바일 오피스', 'AI 어시스턴트' 같은 차량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운영체제(OS), 음성 인식 AI,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ADAS), 디지털 서비스 연동이 차별화 포인트로 부상했습니다.

 

중국 로컬 업체들은 이 트렌드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 BYD는 자체 개발한 DiLink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콕핏 경쟁력을 강화했고,
  • NIO는 자체 AI 어시스턴트인 NOMI를 탑재하여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 Xpeng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며,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에서 강점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일본 브랜드들은 EV 본체 성능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디지털 경험'**을 현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토요타는 화웨이 HarmonyOS를,
  • 혼다는 딥시크 AI를,
  • 닛산은 모멘타 ADAS를 적극 도입해, 스마트 기능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숙제가 남아 있습니다. 일본 브랜드들은 하드웨어 설계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소프트웨어 UX/UI 설계, OTA 업데이트 대응력, 로컬 데이터 서비스 통합 등 소프트웨어 경쟁력 면에서는 로컬 기업들에 비해 아직 차이가 있습니다.

 

결국, EV 이후의 시대는
"배터리+하드웨어+스마트 소프트웨어+로컬화 전략"
이 네 박자가 모두 맞아야 진정한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시장으로 진입한 것입니다.

 

 

 


🌍 중국 시장 경험, 글로벌 성장 발판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요타 CEO 코지 사토(Koji Sato)는 "중국 시장에서 개발한 제품과 기술을 글로벌 시장 성장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이라는 최첨단 EV 격전지에서 쌓은 경험이 결국 일본 완성차 업계의 새로운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 데 큰 자산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국 시장은 이제 단순한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 아닙니다.
'가장 빠른 기술 변화', '가장 치열한 경쟁', **'가장 높은 소비자 기대치'**가 공존하는, 그야말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최전선입니다.

일본 브랜드들이 중국 로컬 테크 기업들과 손을 잡은 것은, 단순히 중국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한 응급처방이 아닙니다.
차량의 스마트화와 디지털 전환이라는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 전략입니다.

 

비록

  • 미중 기술 경쟁,
  • 보호무역 기조,
  • 데이터 거버넌스 이슈
    등으로 인해, 중국 현지에서 개발된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바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지에서 얻은 디지털 기술력과 소프트웨어 경험은 토요타, 닛산, 혼다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중국은 이제 더 이상 단순한 판매 시장이 아니다. 배우고, 시험하고, 혁신하는 실험실이다."

 

일본차의 '두 번째 도약'은 이제 막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여정은, 중국 시장이라는 가장 험난한 전장에서부터 출발하고 있습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