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책, 생각, 에세이21

지속 가능한 운동, 지속 가능한 삶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환경과 경제, 사회를 이야기할 때 반드시 붙는 단어가 되었다. 그 출발점은 1987년 유엔이 발표한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였다. 흔히 ‘브룬트란트 보고서’라고 불리는 이 문서에서, 미래 세대의 필요를 해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하는 방향을 ‘지속 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라고 정의했다.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을 최소화하면서도 인간 사회의 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원칙이었다. 그 이후 ‘지속 가능한 성장(Sustainable Growth)’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으며, 이제는 정치·경제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도 중요한 화두로 다가왔다. 나는 이 개념을 운동에도 적용해보고 .. 2025. 10. 4.
2. 숨부터 배우는 삶 살아움직이는 모든 생물의 시작은 호흡이다. 숨쉬기. 숨쉬지 않는 생물은 없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호흡을 제대로 할수 있어야 시작할 수 있다. 숨을 제대로 쉬는 것이 이보다 더 중요한 운동은 없을 것이다. 수영하는 방법은 숨쉬는 방법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잘 숨쉬고 나아가는 것이 수영일테니까. 나는 수영장에서 처음 호흡을 배우는 순간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난생처음 수영 강습을 받았다. 단체 수업이어서 어색한 수영복을 입고 조금 부끄러웠던 기억이 아직 생생하다. 강사는 “숨을 들이마시고, 물속에서 내쉬세요. 그리고 고개를 돌려 다시 들이마시면 됩니다”라고 간단히 설명했다. 말로는 단순했다. 그 유명한 음파음파… 하지만 실제로는 그 단순한 동작이 가장 어려웠다. 물속에서 숨을 멈추고 있다가 고개.. 2025. 10. 3.
널 사랑하지 않아 – 진정성의 다른 얼굴 사랑을 노래하는 수많은 곡들 속에서, 어반자카파의 〈널 사랑하지 않아〉는 다소 이질적으로 다가온다. 대중가요는 대체로 ‘사랑한다’는 고백과 ‘그리움’을 중심으로 한 서사를 풀어내지만, 이 곡은 정반대의 감정을 정면으로 마주한다. “널 사랑하지 않는다”는 단호한 고백은 처음 들었을 때 다소 충격적이지만, 동시에 그 안에서 느껴지는 진정성은 쉽게 잊히지 않는다. 사랑하지 않는다는 고백은 단순히 차가운 거절이 아니다. 오히려 과거에 사랑했던 순간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솔직한 말이다. 어반자카파는 이 곡을 통해 ‘사랑의 끝’을 감정적으로 포장하거나 변명하지 않는다. 미안함조차 담지 않은 채, 다만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드러낼 뿐이다. 이 솔직함이 청자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가식 없는 .. 2025. 9. 29.
728x90
반응형